UN(유엔), “2020 전자정부(E‑Government) 순위(Ranking)” 발표
오늘 발표된 UN(유엔) “2020 전자정부(E‑Government) 조사”에 따르면 COVID-19 대유행(pandemic) 봉쇄 조치로 대부분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디지털 정부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많은 혁신적 이니셔티브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디지털 정부(Digital Government) 기준 193개 ‘유엔 회원국(UN Member States)’ 중 2020년 순위(Ranking)는 덴마크, 대한민국, 스웨덴, 영국, 뉴질랜드 순이다.
최하위권 국가 중에서는 부탄, 방글라데시, 캄보디아가 디지털 정부 개발의 선두주자가 되어 2020년 중간에서 높은 전자정부 개발지수(EGDI) 그룹으로 진출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는 모리셔스, 세이셸,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전자정부 랭킹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회원국 중 65%가 EGDI 수준이 높거나 매우 높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류젠민(Liu Zhenmin) 유엔(UN) 경제사회 사무차장은 “COVID-19 대유행(pandemic)은 디지털 서비스의 전통적인 제공과 위기관리에 있어 새로운 혁신적 노력 모두에서 디지털 정부의 역할을 새롭게 하고 고정시켰다”고 말했다.
“The pandemic has renewed and anchored the role of digital government – both in its conventional delivery of digital services as well as new innovative efforts in managing the crisis.”
<<<무료 영어 듣기 트레이닝 (한국어 음성이 없는 버전)>>>
<<<영어 회화 대입 수능 포함한 중.고 내신 대비>>>
정부는 ‘COVID-19 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COVID-19 전용 정보 포털, 해커톤, 의료 물품 공급을 위한 e-서비스, 가상 의료 약속, 자가 진단 앱, 야간 통행금지를 위한 e-퍼밋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시행했다. 많은 나라들은 감염 루트의 추적 앱(App)과 재택근무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보고했다.
일례로 혁신적인 디지털 정부 대응에는 캐나다와 호주의 온라인 대시보드가 포함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비상 대응 추적 시스템, 중국의 챗봇(Chat Bot)을 이용해 환자의 감염 위험을 평가, 에스토니아의 한 커뮤니티 참여 앱은 지방자치단체가 COVID-19 정보 공유, 사진과 동영상 게시, 심지어 가상 행사까지 포함한 그들의 유권자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도록 했다.
크로아티아에서 '가상의사(Virtual Doctor)'는 인공지능(AI)에 의해 실행되고, 역학학자들과 협력하여 기술 기업들이 개발한다. 런던에서는 일반적으로 교통을 통제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 AI 알고리즘의 사용이 이제는 보행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회적 거리를 통제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193개 ‘유엔 회원국(UN Member States)’ 대상 전자정부 현황 조사에서는 여전히 정보격차에 의해 발전에 어려움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다만 2020년 최신 보고서에는 모든 지역에서, 심지어 22% 이상의 최빈개도국에서도 전자정부 개발의 수준발전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류젠민(Liu Zhenmin)은 “전자정부(E‑Government) 순위(Ranking)는 한 나라의 소득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경향이 있지만 디지털 정부(Digital Government)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재원이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한 나라의 정치적 의지, 전략적 리더십, 디지털 서비스 선진화에 대한 약속은 비교 순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While e-government rankings tend to correlate with the income level of a country, financial resources are not the only critical factor in advancing digital government,” added Liu Zhenmin. “A country’s political will, strategic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advance digital services, can improve its comparative ranking.”
그러나 많은 나라들의 전자정부에서의 이득과 주요 투자에도 불구하고, 정보격차는 계속되고 있다. 점수가 낮은 8개국 중 7개국이 아프리카에 속해 있고, 가장 저개발국 그룹에 속해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역 평균 지수 점수는 세계 평균 EGDI(0.60)보다 거의 3분의 1(0.3914) 낮다고 보고했다.
#UN #eGovernment #EGDI #BTC #Blockchain #Crypto #DailyCoinNews #데일리코인뉴스 #암호화폐 #비트코인 #AML #DLT #Libra #stablecoin #Exchange #AI #Cryptocurrency #digitalCurrency #IoT #Hacker #cyberattack #SatoshiNakamoto #tradeWar #SEC #이더리움 #돈세탁방지법 #디지털화폐 #디지털ID #암호화폐지갑 #cryptowallet #FinCEN #Gemini #itBit #Kraken #Bitstamp #Liquid #OkEx #Poloniex #bitFlyer #Bitfinex #OKCoin #USDT #Hacker #Coinbase #Reddit #BitMEK #Bitfinex #forensics #Binance
이제니 기자 (news@dailycoinews.com)의 기사 더 보기
- 데일리코인뉴스는 현장의 목소리를 우선합니다(news@dailycoinews.com) -
- 기사에 사용된 모든 자료에 대한 책임은 작성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저작권자ⓒ Daily Coin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등록시 비트코인 가격
BTC-USD : $ 9,253.90 USD (API by Bitfinex)
Leave a Comment
Write As a Reporter
Coin 시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