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 Seoul' 17~19일까지 세빛섬에서 열려
'The Global Crypto Investor Summit' 주제
'하이브리드 모델 : ICO시대 벤처기업의 미래' 패널토론 이어져
9월 18일(화) 'Block Seoul' 2ND DAY. Luna가 주관해 세빛섬(서울 서초구)에서 열린 이 날 행사에는 세계 각 국의 블록체인 관련 대형 투자자들과 블록체인 유저, 미디어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가했다.
둘 째 날 첫 기조연설은 미국 뉴욕주의 첫 흑인계 주지사였던 David Paterson가 막을 열었다.
David Paterson 前 뉴욕 주지사는 재임기간이었던 2008년 뉴욕의 재정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며 많은 정치인들과 시민들의 지지를 받은 바 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의 힘인 중소기업을 성공적으로 키우는 법'을 주제로 40여 분간 발표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은 '하이브리드 모델 : ICO시대 벤처기업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됐다.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Citdex's Parcels Network)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홍상진 대표(체인캐빈넷), Masha Drokova 설립자(Day One Ventures), Mir Haque 설립자(Aphaea Capital), Victoria Saucier Managing Parter(Ignite 500), Ivan Soto-Wright Managing Director(HODL.vc), Jungho Yoo Direcor(Korea Investment Partners)등 해외 벤처캐피탈, 대형 투자자들이 참가해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먼저 좌장을 맡은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Citdex's Parcels Network)가 "2018년 상반기 570억 달러의 투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 20억 달러는 엔젤이었다. 이 것을 경쟁이라고 해야 할까? 협력이라고 해야 할까? 그리고 시큐리티 토큰의 장.단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라고 질문을 던졌다.
홍상진 대표(체인캐빈넷)는 "ICO는 새롭다고 할 수 있다. 투자자와 기업가 모두 배워가는 단계다. 하지만 한국의 관점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고 규제가 없기 때문에 토큰 세일에 참여가 불가능하다. 여러 가지 중간 단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에코시스템에 대해 배우게 되고 규제의 프레임이 나오게 된다면, 추후에는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Ivan Soto-Wright Managing Director(HODL.vc)는 "ICO가 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작년의 경우 기존 기술 회사 입장에서는 자본을 크게 늘릴 수 없는 상황이었다. 프로젝트 또한 합법적으로 적합하게 할 수 없었다. 이런 기회들을 잘 활용 할 수 있길 바란다. 현재 시장이 이런 ICO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을 보았다. 지금의 상황을 보면 유틸리티 토큰에서 시큐리티 토큰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체 플랫폼에서 유틸리티 토큰을 잘 활용 할 수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Victoria Saucier Managing Parter(Ignite 500)는 "시큐리티 토큰을 거래하면서 느낀 점은 기관 투자자들이 점점 더 참여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또 기업을 설립해 돈을 벌고 나선 사라질 수도 있다. 때문에 회사가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와 어떻게 이익을 창출하는지, 구조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회사들의 경우 VC(벤처캐피탈)나 엔젤 투자자들의 투자도 받지 못한다. 따라서 시큐리티 토큰 같은 경우에서는 훨씬 더 많은 돈이, 더 전문적인 프라이빗 회사에서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 좌장은 두번 째 질문으로 "전통적인 벤처캐피탈은 플랫폼 투자와 블록체인 기술 투자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물었다.
Masha Drokova 설립자(Day One Ventures)는 "블록체인 회사인가 아닌가를 떠나서 이 프로젝트가 충분히 흥미로운가? 에 대해 중점을 두고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VC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첫번 째는 시간을 단축할 수있고, VC의 도움을 받아 전략을 세울 수 있고 수 년간의 엑세스가 아닌 빠른 엑세스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VC는 자본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 지원이 가능하다. VC는 협소적인 관점이 아닌 광범위한 투자를 한다."고 답했다.
홍상진 대표(체인캐빈넷)는 현재의 트렌드를 중시했다. 그는 "우리는 공동 의견을 가지고 있다. 현재 스캠도 많고 개인 투자자들도 많다. 우리는 블록체인 투자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트레이딩도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지금 투자자들이 어디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 트렌드를 읽는다. 그리고 지식 공유뿐만 아닌 경험을 공유하고, 이러한 바탕 위에서 회사를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는 규제와 법적인 요소에 대한 이야기로 세번 째 질문을 이어갔다. 그는 "VC 입장에서 미국의 증권거래법은 물론 전세계적 규제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요청했다.
Mir Haque 설립자(Aphaea Capital)는 "지난 여름에는 마땅히 투자를 할 제품이 없었다. 지금은 어드바이저, 전략적 파트너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시큐리티 토큰에 상당히 관심이 많다. 법적 규제로 인해 몰타 등 여러 지역에서 ICO를 하고 있고, 오너가 바뀌는 상황도 있고, 엑시트 하는 상황도 달라졌다."며 법, 규제로 인해 투자 환경도 변화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Ivan Soto-Wright Managing Director(HODL.vc)도 나름의 규제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그는 "몇 주 전 몰타의 은행측과 대화를 해 보았다. 당시 암호화폐에 대해 은행들의 규제가 심했고, 미국은 꺼려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몰타는 굉장히 흥미로웠다. 바로 여기에 큰 변화가 있다고 생각한다. 몰타는 작은 국가이고 규제에 대한 부분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으며, 흥미로운 법안도 있었다. 예를 들어 토큰의 종류에 따라 법이 다르고, 규제 당국에 대해 명확한 가이드 라인이 있다는 점이다. 현재 많은 기업가들이 몰타에 기반을 두려고 한다. 규제와 법적인 요소로 인한 미국과 한국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한다. 완전 초기에는 암호화폐에 대한 어떤 규제도 없었다. 어느 정도의 규제와 일부 기회를 통해 배웠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피력했다.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 좌장은 이어 '유틸리티 토큰에 대한 세금 관련 질문'을 패널들에게 던졌다.
Victoria Saucier Managing Parter(Ignite 500)는 "만약 채권 기반이라면 세금 대상이 아니고, 유틸리티 토큰은 세금 대상이다. 한국에서는 세금 대상이 아니라는데 사실인지 궁금하다."며 홍상진 대표에서 되물었다.
홍상진 대표는 "아직 한국은 규제가 없고 명확한 가이드 라인이 없지만 올해 안에 나올 것 같다. 현재 세금에 대한 규제는 없다. 아직까지 규제가 없다는 부분을 유의하셨으면 좋겠다."라고 답했다.
Mir Haque 설립자(Aphaea Capital)는 "저도 이 질문을 많이 받아왔다. 방글라데시에서는 대부분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다. 세금은 사실 별로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좌장 Christopher Cutler Founding Partner는 이어 "VC의 경우 어디에 중점을 두고 투자를 하는지?" 물었다.
이에 대해 Masha Drokova 설립자(Day One Ventures)는 "언제가 최상의 타이밍인가의 결정은 좋지 않다. 그 것보다 성공적인 ICO를 위해서는 커뮤니티와 매출이 중요하고, 창업자의 마인드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어떻게 ICO를 할 것인가?, 어떻게 준비를 할것인가?, 투자 시 안전한가?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Ivan Soto-Wright Managing Director(HODL.vc)는 "회사가 어떠한 미래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도 봐야한다. 자본이 모여야 그 다음 단계로 돌입하기에 자본도 중요하다. 그리고 혁명적이기보다는 진화적인 면을 추구한다."며 토론을 마무리했다.
한편, 패널토론 후 이어지는 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시간에는 SignKeys, AirWallet, NASGO, TuneToken, Polymath 등 5개 회사가 각각 10여 분씩 자 사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했다.
- 데일리코인뉴스는 현장의 목소리를 우선합니다(news@dailycoinews.com) -
[copyrightⓒ 2018 All rights reserved by Daily Coin News]
Leave a Comment
Write As a Reporter
Coin 시황


임은교 2018-11-12 16:08
좋은 기사 읽고 갑니다.~
전수미 2018-11-01 00:04
좋아요
오미선 2018-10-31 15:15
잘 봤습니다~